Daum 매일경제 [방방콕콕]
조선산업 현장이면서도 여당 불모지 ‘목포’ 2005년 이후 법무부 장관 전남도청 첫 방문 한 장관 “국민 잘 사는 것 여·야 생각 같아야” 한동훈 법무부 장관이 지난 10일 오후 전남 영암군 현대삼호중공업 내 LNG 액화 가스 운반선에서 맴브레인 시트 자동 용접 시연을 보고 있다. [사진 출처-연합뉴스] “윤석열 대통령이 목포가 좋겠다고 해서 왔다.”
전남 영암군 현대삼호중공업을 찾아 자신이 전남을 방문한 이유를 밝히면서 한 말이다. “윤석열 대통령에게 외국인 숙련인력 비자 쿼터를 17배로 늘리겠다고 보고하자 (윤 대통령이) 목포 현장이 좋을 것이라고 말해서 왔다” 라고 했다.
전남 영암군에 있지만 목포 인접 생활권이다. 목포 신항만과의 거리는 2.8㎞에 불과하고, 목포시청과는 약 11㎞ 떨어져 있다. 아성이자 여당의 불모지다. 고(故) 김대중 대통령의 지역구이자 호남 정치 1번지로 꼽히는 목포를 윤 대통령이 지목한 셈이다.
“조선업의 당면한 과제 중에서도 인력 문제가 심각하다. 정부가 정책적 도움을 줄 방향을 적극적으로 찾고 있다”며 “정책적 방향을 찾는데 현장 목소리가 중요하고 그래서 현대삼호중공업을 찾았다” 고 했다.
“이례적이다”는 반응이 나왔다. 액화천연가스(LNG) 운반선과 15만8000t급 유조선 등 34척(58억1000만달러 규모)을 수주하면서 인력난이 가중되고 있는 곳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긴 하다. 이곳에서 근무 중인 외국인 근로자도 2700여 명에 달한다. 여당의 정치적 기반이라 할 수 있는 이른바 부·울·경 지역에도 울산이라는 조선업으로 손꼽히는 도시가 있다.
또한 극심한 인력난을 겪으며 2400여 명의 외국인 노동자들이 근무하고 있기 때문에 한 장관의 전남지역 산업현장 방문을 놓고 이례적이란 반응이 나온 것이다. 열린 법무부-전남도 외국인·이민제도 정책 소통 간담회에서 김영록 전남도지사와 한동훈 법무부 장관이 악수를 나누고 있다. [사진 출처-연합뉴스]
하루 뒤 찾은 곳은 전남도청이었다. 김영록 전남지사는 이날 한 장관의 방문에 대해 “(2005년)남악 전남도청 개청 이래 법무부 장관 방문은 처음”이라며 환영사의 운을 뗐다. 한 장관의 전남도청 방문은 산업계에 이어 인구감소로 인력난을 겪는 소멸위기 지역의 의견을 직접 듣기 위해 마련됐다. “전남은 대한민국 인구 감소 문제를 체감하는 곳” 이라며 “국민을 안전하고 잘 살게 하는 것에 중앙과 지방정부, 여당과 야당의 생각은 같아야 한다”고 했다. 발언이면서도 국민의힘이 지난해 대통령 선거와 지방선거에서 보였던 ‘서진(西進) 정책’이 엿보이는 대목이다. 22개 시·군 중 7개 (목포·순천·광양·강진·진도·무안·영광) 시·군 단체장이 무소속으로 당선됐었다. 당적이 당선을 결정하는 것은 아님을 증명한 선거였다. “국민의힘의 서진정책에 발맞춰 실리를 찾기 위해서는 야당으로 당적을 옮기기보다 무소속이 낫기 때문” 이라는 평가가 나온다.
한 장관에게 직접 건의해 도입이 이뤄졌던 ‘무안국제공항 국제노선 무사증(무비자) 제도’ 덕분에 외국인 관광객 유입이 늘어난 곳이다. “지난 3월 무안국제공항 무사증 제도 시행 뒤 전남을 찾는 외국인 관광객이 매우 늘고 있다”며 “관광객 사후 평가에서도 만족도가 높아 감사드린다”고 말했다. 제안이 정책으로 반영된 것이 △무사증 제도 △조선업 인력 확보 △외국인 근로자 확대”라며 “지역과 정부가 함께 일하면 상승효과를 낼 것”이라고 말했다. 한동훈 법무부 장관이 지난 10일 오후 전남 영암군 현대삼호중공업에서 열린 외국인 근로자 간담회에 참석해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. [사진 출처=연합뉴스] ※ ‘방방콕콕’은 전국 방방곡곡에서 발생하는 따끈따끈한 이슈를 ‘콕콕’ 집어서 전하기 위해 매일경제 사회부가 마련한 코너입니다. 지방자치단체의 소식부터 지역 경제 뉴스, 주요 인물들의 스토리까지 다양한 소식을 전하기 위해 현장에서 열심히 발로 뛰겠습니다. ▼ 이미지는 위 글과 무관해요! Daum 뉴스 편집입니다!
2023.7.23.아띠할멈.(). jamyung820.tistory.com |
카테고리 없음